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마트팜 센서 종류별 특징과 관리 팁
    스마트팜(도시농부) 2025. 6. 17. 10:00

    “센서를 잘 다루는 농부가 스마트팜을 성공시킨다 – 기초부터 관리까지 완벽 가이드”

     

    스마트팜 센서 - 종류별 특징, 관리 팁

     

    스마트팜 성공의 핵심은 센서 활용! 주요 센서 7가지 특징과 관리 팁까지 한눈에 정리한 실전 가이드를 소개합니다.

     

     

    스마트팜의 핵심은 데이터 기반 재배다.
    아무리 좋은 LED 조명과 자동 급수 시스템이 있어도
    환경 데이터 없이 운영하면 수작업 농법과 큰 차이가 없다.

    센서는 스마트팜에서
    작물 생육에 가장 중요한 환경 요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자동화 시스템과 연동해 최적의 재배 환경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글에서는 스마트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센서 종류별 특징과 관리 팁을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본다.

     


    ✅ 스마트팜에서 많이 쓰는 주요 센서 7가지


    ① 온도 센서

     

    - 기능: 공기 온도 / 용액 온도 실시간 측정

    -  활용: 히터, 팬, 냉각 장치 자동 제어

    -  관리 팁: 주 1회 보정 점검, 고온 구간에서는 센서 보호 필요

    ② 습도 센서

     

    -  기능: 공기 중 상대 습도 측정

    -  활용: 가습기, 제습기 자동 제어

    -  관리 팁: 먼지와 이물질이 많으면 정확도 저하 → 주기적 청소 필수

    ③ CO₂ 센서

     

    -  기능: 대기 중 CO₂ 농도 측정

    -  활용: CO₂ 발생기 자동 제어, 광합성 촉진 최적화

    -  관리 팁: 센서 위치 중요 → 공기 순환이 잘 되는 지점에 설치

    ④ 조도(광도) 센서

     

    -  기능: 빛의 강도 측정 (Lux 또는 PPFD 기준)

    -  활용: LED 조명 자동 ON/OFF 또는 밝기 조절

    -  관리 팁: LED 직접 조사 피하기, 렌즈 청소 주기적 실시

    ⑤ pH 센서

     

    -  기능: 수경재배용 양액의 pH 측정

    -  활용: pH 자동 보정 장치 연동, 작물 생육 최적 pH 유지

    -  관리 팁: 매일 1회 교정 검사, 센서 보관 시 전용 용액 필수 사용

    ⑥ EC 센서

     

    -  기능: 수경재배 양액 내 전기전도도(EC) 측정 → 영양분 농도 간접 측정

    -  활용: 양액 농도 유지 자동화

    -  관리 팁: 센서 전극 부분 청결 유지, 교정 주기 준수

    ⑦ 토양 수분 센서 (토경 스마트팜 한정)

     

    -  기능: 토양 내 수분 함량 측정

    -  활용: 관수 타이밍 최적화, 관수 자동화 시스템 제어

    -  관리 팁: 깊이별 설치 위치 맞춤 적용, 염분 축적 시 오차 발생 주의

     


    ✅ 스마트팜 센서 관리 팁


    -  주 1회 센서 상태 확인 루틴 설정

    -  월 1회 센서 교정/보정 진행 (pH, EC, CO₂ 센서 필수)

    -  센서 설치 위치 정기 점검: 센서가 올바른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는지 확인

    -  백업 센서 1~2개 확보 추천: 주요 센서 고장 시 즉각 교체 가능하도록 준비

     


    ✅ 마무리


    센서는 스마트팜의 눈과 귀다.
    센서 데이터가 정확해야만 작물 생육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고
    생산성, 품질, 에너지 효율까지 관리할 수 있다.

    정기적인 관리와 올바른 활용법만 익혀두면
    초보자도 데이터 기반 농업을 실천할 수 있다.
    이번 주에는 스마트팜 센서 점검 루틴부터 시작해보자.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