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팜 작물 병해 조기 발견법 – 잎 색·뿌리 상태로 알 수 있는 신호 7가지스마트팜(도시농부) 2025. 8. 19. 10:00
병해충 피해는 초기에 발견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팜 재배 작물에서 나타나는 잎·줄기·뿌리 변화 신호 7가지를 알아보고,빠르게 대처하는 방법까지 정리했습니다.
스마트팜 병해 조기 발견 핵심 가이드!
잎 색·뿌리 상태로 알 수 있는 병징 신호 7가지와 빠른 대처법을 알려드립니다.
작물 폐사를 막고 수확량을 지키는 필수 체크리스트입니다.1. 스마트팜에서도 병해는 피할 수 없다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팜은 밀폐된 환경이니 병해충이 적다’고 생각하지만,실제로는 환경 제어 오류나 위생 관리 소홀로 인해 병해 발생 가능성은 여전히 높습니다.
특히 고온다습한 여름철, 환기 부족, 영양액 오염 등은 곰팡이·세균성 병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입니다.
조기 발견만 잘해도 피해를 절반 이상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시각적 관찰과 기록은 필수입니다.
2. 병해를 의심해야 할 신호 7가지
1. 잎이 노랗게 변색됨
질소 결핍일 수도 있지만, 뿌리 발육 저하·곰팡이성 병원균 감염 신호일 수 있습니다.
2. 잎 가장자리가 타들어간 듯 갈색으로 변함
칼륨 부족 또는 과도한 염류 축적, 일부는 곰팡이성 병의 초기 증상입니다.
3. 잎 표면에 하얀 가루·점이 나타남
흰가루병, 노균병 초기 단계일 수 있으며, LED 조명 열기와 습도 조합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4. 줄기 하단이 물러지고 색이 변함
균핵병이나 시들음병의 가능성이 높으며, 뿌리 부근부터 위로 확산됩니다.
5. 뿌리가 갈색·검게 변하고 냄새가 남
뿌리썩음병(Pythium) 의심, 영양액 과열 또는 산소 부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6. 잎이 쭈글쭈글해지고 두꺼워짐
진딧물, 총채벌레 등 흡즙성 해충 피해 가능성이 있으며, 바이러스병 감염 전조이기도 합니다.
7. 성장이 갑자기 멈추거나 새순이 작게 자람
뿌리 발육 장애·영양 불균형, 또는 병원균 침입으로 인한 생리장해 가능성이 큽니다.3. 병해 조기 진단 체크리스트
- 매일 잎 뒷면과 줄기 하단 확인: 병징 초기 신호는 뒷면에서 먼저 나타남
- 영양액 온도·pH 측정: 온도는 1822℃, pH는 5.56.5 유지
- 습도·온도 로그 확인: 60% 이상 지속 시 곰팡이 발생 위험 증가
- 작물별 성장 기록표 작성: 정상 패턴과 비교해 이상 여부 판단4. 조기 대처 방법
- 의심 개체 즉시 격리 후 상태 기록
- 병든 부위는 소독 가위로 절단 후 폐기
- 환기 강화: 하루 최소 2회 공기 순환
- 영양액 및 수조 완전 교체
- 친환경 방제제(베이킹소다 희석액, 유황제 등) 활용
- 심각한 경우, 해당 베드 전체를 비우고 살균 소독5. 예방이 최고의 방제
- 병해를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사전 예방입니다.
- 주기적 위생 관리: 장비·수조 소독
- 환기·제습 자동화: 센서 기반 관리
- 작물 간격 유지: 최소 5cm 이상
- 외부 반입물 점검: 새 모종·도구는 반드시 소독 후 사용'스마트팜(도시농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스마트팜 해충 방제법 – 친환경 살충제와 환기 전략 (0) 2025.08.17 스마트팜 여름철 수경재배 문제 해결법 – 뿌리썩음·온도장애 대처 가이드 (0) 2025.08.15 여름철 스마트팜 알림 오류 많을 때? 센서 에러 원인 진단과 해결 방법 (0) 2025.08.04 베란다 스마트팜 여름 고온 스트레스 해결법 – 환기·그늘·급수 실전 노하우 (0) 2025.07.28 베란다 스마트팜 해충 방제법 – 여름철 친환경 살충제와 환기 관리 실전 팁 (0) 2025.07.23 스마트팜 센서 고장 원인과 해결법 – 수분·조도·온도 오류 체크리스트 완전정리 (0) 2025.07.21 스마트팜 LED 조명 밝기 조절법 – 작물별 최적 세팅 완전정리 (0) 2025.07.19 스마트팜 작물 수확 후 신선도 유지법 – 저장·보관 꿀팁 7가지 (0) 2025.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