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팜 여름철 수경재배 문제 해결법 – 뿌리썩음·온도장애 대처 가이드스마트팜(도시농부) 2025. 8. 15. 10:00
여름철 실내외 온도가 높아지면 수경재배 환경은 쉽게 불안정해집니다.
뿌리썩음, 산소 부족, 온도장애를 예방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여름철 수경재배에서 흔한 뿌리썩음과 온도장애, 어떻게 해결할까요?
스마트팜 운영자가 꼭 알아야 할 수온 관리, 산소 공급, 환기·차광 팁을 한 번에 알려드립니다.1. 여름철 수경재배, 왜 문제가 많아질까?
수경재배는 토양이 아닌 물과 영양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온도와 산소 공급 변화에 민감합니다.
여름철 실내 온도가 28℃를 넘어가면 수온도 빠르게 상승하며,
이때 뿌리 부위의 산소 용해도가 떨어져 뿌리 호흡이 어려워집니다.
이 환경은 피시움균이나 푸사리움균 같은 병원균 번식에 최적이어서 ‘뿌리썩음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2. 뿌리썩음 예방과 대처법
- 수온 관리: 20~24℃ 유지가 이상적. 수온이 26℃ 이상이면 아이스팩·냉각기 사용
- 산소 공급 강화: 여름철엔 평소보다 산소발생기나 에어스톤 출력을 높여 용존산소량 유지
- 물 교체 주기 단축: 평소 2주 1회 교체 → 여름엔 5~7일 간격으로 교체
- 영양액 농도 조절: 고온 시 흡수율 저하로 염류 집적 가능 → EC(전기전도도) 수치를 낮춰 관리
- 감염된 식물 격리: 뿌리가 갈변·물렁해지면 즉시 제거, 수조 전체 소독3. 온도장애 해결법
- 여름철엔 단순히 수온뿐 아니라 공기 온도·습도도 문제입니다.
- 차광막 설치: 직사광 유입 시 내부 온도가 급상승하므로, 30~50% 차광망 사용
- 환기 강화: 베란다·온실은 아침, 저녁으로 환기. 낮엔 환기팬과 외부 흡기팬 활용
- 습도 조절: 습도 60~70% 유지, 80% 이상이면 곰팡이병 위험 증가
- LED 조명 발열 관리: LED도 장시간 사용 시 발열 발생 → 팬 또는 열방출판으로 냉각4. 관리 체크리스트
1. 매일 수온·EC·pH 기록
2 . 뿌리 색과 상태 주 2회 확인(건강한 뿌리는 하얀색)
3 . 수조·호스·펌프 2주마다 소독
4 . 비상용 아이스팩·환기팬·예비 산소발생기 준비5. 마무리
여름철 스마트팜 수경재배는 관리 난이도가 높지만,
온도·산소·위생 세 가지를 철저히 지키면 병해 발생률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평소 기록과 점검 습관이 있다면 고온기에도 안정적인 작물 생산이 가능합니다.'스마트팜(도시농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스마트팜 알림 오류 많을 때? 센서 에러 원인 진단과 해결 방법 (0) 2025.08.04 베란다 스마트팜 여름 고온 스트레스 해결법 – 환기·그늘·급수 실전 노하우 (0) 2025.07.28 베란다 스마트팜 해충 방제법 – 여름철 친환경 살충제와 환기 관리 실전 팁 (0) 2025.07.23 스마트팜 센서 고장 원인과 해결법 – 수분·조도·온도 오류 체크리스트 완전정리 (0) 2025.07.21 스마트팜 LED 조명 밝기 조절법 – 작물별 최적 세팅 완전정리 (0) 2025.07.19 스마트팜 작물 수확 후 신선도 유지법 – 저장·보관 꿀팁 7가지 (0) 2025.07.17 2025 스마트팜 급수 시스템 비교 – 자동 vs 수동, 비용·관리 완전 가이드 (0) 2025.07.15 에너지 절약형 스마트팜 운영법 – 전기요금 줄이는 팁 (0) 2025.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