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팜 LED 조명 밝기 조절법 – 작물별 최적 세팅 완전정리스마트팜(도시농부) 2025. 7. 19. 10:30
LED 조명 밝기 하나로 수확량과 생장 속도가 바뀝니다.
작물 종류에 따라 꼭 맞는 광량 세팅을 알고 시작하세요.스마트팜 작물에 맞는 LED 조명 밝기, 얼마나 중요한지 아시나요?
상추, 바질, 토마토 등 작물별 최적 광량 세팅과 조명 위치 조절법까지 완벽 정리했습니다.1. 왜 ‘LED 밝기’가 중요한가?
스마트팜에서는 자연광 대신 LED 조명을 이용해 작물의 생장을 유도한다.
하지만 모든 작물이 같은 밝기를 요구하지 않는다.
‘빛이 충분한 것 같아도’, 작물의 생장 속도가 더딘 이유는
‘PPFD 값’ 또는 ‘조도 설정’이 맞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 PPFD(광합성 유효광량)는 작물의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수치로,
LED 조명의 밝기뿐 아니라, 위치, 각도, 조도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2. 작물별 적정 밝기(PPFD) 정리표작물 최적 PPFD(μmol/m²/s) 광요구도 추천 조명 거리 상추 100~150 낮음 20~30cm 바질 150~250 중간 20~25cm 루꼴라 100~180 낮음 25~30cm 청경채 120~200 낮음 20~30cm 토마토 250~400 높음 15~25cm 고추 300~500 높음 15~20cm 허브류(민트 등) 120~180 낮음~중간 25~30cm
📌 TIP:
LED 조명이 너무 밝으면 오히려 잎 끝이 타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니
높은 광요구 작물 외엔 무조건 밝게만 설정하는 건 금물이다.
3. LED 밝기 조절을 위한 실전 팁
✔ 1) 높이 조절로 밝기 조절
LED는 가까울수록 빛이 강해진다.
상추나 허브류는 20~30cm 거리,
토마토나 고추 등은 15~20cm 이내로 세팅하는 것이 좋다.
✔ 2) 타이머 활용해 하루 광량 일정하게 유지
- 일반적으로 12~16시간 조명 유지,
- 남향 베란다라면 자연광+LED 혼합 전략이 효과적이다.
✔ 3) 반사판 활용으로 효율 극대화
LED 조명이 한 방향만 비출 경우,
흰색 벽면 또는 알루미늄 판을 사용해 빛을 반사시키면
광량이 20~30% 이상 증가한 효과를 낼 수 있다.4. 조명 점검 체크리스트
- 조명이 켜져 있는데도 작물 성장이 느릴 경우?
→ PPFD 미달 / 파장 문제 / 타이머 설정 오류 가능성 체크
- 잎 끝이 타거나 갈색으로 변할 경우?
→ 광량 과다 또는 조명 거리 너무 가까움
- 줄기만 길게 자라고 잎이 작을 경우?
→ 광량 부족, 빛을 향해 웃자람 발생
정기적으로 식물의 상태를 관찰하고, 조도 또는 거리를 조절해줘야 안정적인 생장이 가능하다.✅ 마무리 요약
- 작물별로 적정 밝기(PPFD)가 다르므로 사전에 체크 필요
- 거리, 시간, 반사판 등을 활용해 조도 최적화
- 정기적인 LED 점검과 조명 세팅 변경이 생장 효율을 좌우한다'스마트팜(도시농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팜 센서 고장 원인과 해결법 – 수분·조도·온도 오류 체크리스트 완전정리 (0) 2025.07.21 스마트팜 작물 수확 후 신선도 유지법 – 저장·보관 꿀팁 7가지 (0) 2025.07.17 2025 스마트팜 급수 시스템 비교 – 자동 vs 수동, 비용·관리 완전 가이드 (0) 2025.07.15 에너지 절약형 스마트팜 운영법 – 전기요금 줄이는 팁 (0) 2025.07.13 스마트팜 자동 급수 시스템 2.0 – 설치부터 운영까지 완벽 가이드 (0) 2025.07.12 스마트팜 여름철 수경재배 수질 살균·pH 관리 완전 가이드 (0) 2025.07.10 스마트팜 작물 병해충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완전정리 (0) 2025.07.08 스마트팜용 LED 조명 추천 브랜드 비교 (2025년 최신 기준) (0)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