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팜 LED 조명 밝기 조절법 – 작물별 최적 세팅 완전정리스마트팜(도시농부) 2025. 7. 19. 10:30
LED 조명 밝기 하나로 수확량과 생장 속도가 바뀝니다.
작물 종류에 따라 꼭 맞는 광량 세팅을 알고 시작하세요.스마트팜 작물에 맞는 LED 조명 밝기, 얼마나 중요한지 아시나요?
상추, 바질, 토마토 등 작물별 최적 광량 세팅과 조명 위치 조절법까지 완벽 정리했습니다.1. 왜 ‘LED 밝기’가 중요한가?
스마트팜에서는 자연광 대신 LED 조명을 이용해 작물의 생장을 유도한다.
하지만 모든 작물이 같은 밝기를 요구하지 않는다.
‘빛이 충분한 것 같아도’, 작물의 생장 속도가 더딘 이유는
‘PPFD 값’ 또는 ‘조도 설정’이 맞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 PPFD(광합성 유효광량)는 작물의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수치로,
LED 조명의 밝기뿐 아니라, 위치, 각도, 조도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2. 작물별 적정 밝기(PPFD) 정리표작물 최적 PPFD(μmol/m²/s) 광요구도 추천 조명 거리 상추 100~150 낮음 20~30cm 바질 150~250 중간 20~25cm 루꼴라 100~180 낮음 25~30cm 청경채 120~200 낮음 20~30cm 토마토 250~400 높음 15~25cm 고추 300~500 높음 15~20cm 허브류(민트 등) 120~180 낮음~중간 25~30cm
📌 TIP:
LED 조명이 너무 밝으면 오히려 잎 끝이 타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니
높은 광요구 작물 외엔 무조건 밝게만 설정하는 건 금물이다.
3. LED 밝기 조절을 위한 실전 팁
✔ 1) 높이 조절로 밝기 조절
LED는 가까울수록 빛이 강해진다.
상추나 허브류는 20~30cm 거리,
토마토나 고추 등은 15~20cm 이내로 세팅하는 것이 좋다.
✔ 2) 타이머 활용해 하루 광량 일정하게 유지
- 일반적으로 12~16시간 조명 유지,
- 남향 베란다라면 자연광+LED 혼합 전략이 효과적이다.
✔ 3) 반사판 활용으로 효율 극대화
LED 조명이 한 방향만 비출 경우,
흰색 벽면 또는 알루미늄 판을 사용해 빛을 반사시키면
광량이 20~30% 이상 증가한 효과를 낼 수 있다.4. 조명 점검 체크리스트
- 조명이 켜져 있는데도 작물 성장이 느릴 경우?
→ PPFD 미달 / 파장 문제 / 타이머 설정 오류 가능성 체크
- 잎 끝이 타거나 갈색으로 변할 경우?
→ 광량 과다 또는 조명 거리 너무 가까움
- 줄기만 길게 자라고 잎이 작을 경우?
→ 광량 부족, 빛을 향해 웃자람 발생
정기적으로 식물의 상태를 관찰하고, 조도 또는 거리를 조절해줘야 안정적인 생장이 가능하다.✅ 마무리 요약
- 작물별로 적정 밝기(PPFD)가 다르므로 사전에 체크 필요
- 거리, 시간, 반사판 등을 활용해 조도 최적화
- 정기적인 LED 점검과 조명 세팅 변경이 생장 효율을 좌우한다'스마트팜(도시농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스마트팜 알림 오류 많을 때? 센서 에러 원인 진단과 해결 방법 (0) 2025.08.04 베란다 스마트팜 여름 고온 스트레스 해결법 – 환기·그늘·급수 실전 노하우 (0) 2025.07.28 베란다 스마트팜 해충 방제법 – 여름철 친환경 살충제와 환기 관리 실전 팁 (0) 2025.07.23 스마트팜 센서 고장 원인과 해결법 – 수분·조도·온도 오류 체크리스트 완전정리 (0) 2025.07.21 스마트팜 작물 수확 후 신선도 유지법 – 저장·보관 꿀팁 7가지 (0) 2025.07.17 2025 스마트팜 급수 시스템 비교 – 자동 vs 수동, 비용·관리 완전 가이드 (0) 2025.07.15 에너지 절약형 스마트팜 운영법 – 전기요금 줄이는 팁 (0) 2025.07.13 스마트팜 자동 급수 시스템 2.0 – 설치부터 운영까지 완벽 가이드 (0) 2025.07.12